한국 주변을 흐르는 해류와 조경수역에 대한 이해는 우리나라의 기후, 해양 생태계, 어업, 해양 자원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 주변의 해류가 어떻게 흐르고 있는지, 어떤 조경수역이 형성되는지, 그리고 이들이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해류란 무엇인가?
해류는 바닷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큰 물줄기입니다. 해류는 바람, 지구의 자전, 해수의 밀도 차, 해안선과 해저 지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해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난류: 따뜻한 바닷물이 흐르는 해류
- 한류: 차가운 바닷물이 흐르는 해류
이 두 해류가 만나는 지점은 **조경수역(潮境水域)**이라고 하며, 매우 풍부한 어장을 형성합니다.
2. 우리나라 주변의 주요 해류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가로서 다양한 해류의 영향을 받습니다. 크게 동해, 서해, 남해로 나누어 각 해역에 흐르는 해류들을 설명하겠습니다.
📍 2-1. 동해
✅ 쿠로시오 해류
- 일본 열도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입니다.
- 북적도 해류의 연장선이며, 대만 동쪽을 지나 일본 남부를 따라 흐릅니다.
-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는 일본 열도 동쪽으로 빠져나가지만, 일부는 동중국해를 통해 동해 남부로 유입되어 동한 난류를 형성합니다.
✅ 동한 난류
-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로,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 남부로 유입됩니다.
- 동해안 남부에서 중부 해역까지 흐르며, 비교적 온난하고 염분이 높은 해수입니다.
- 겨울에도 얼지 않는 동해안 기후에 영향을 줍니다.
✅ 오야시오 해류
- 북태평양의 한류로, 캄차카 반도와 쿠릴 열도 부근에서 남쪽으로 내려옵니다.
- 일본 홋카이도 동쪽 해안을 따라 흘러, 동해 북부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 차갑고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플랑크톤과 어류의 서식에 유리한 환경을 만듭니다.
📍 2-2. 서해
서해는 비교적 얕은 대륙붕으로, 수심이 평균 44m 정도로 얕습니다.
✅ 중국 연안류
- 중국 북부 연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한류 성격의 해류입니다.
- 황하, 장강 등에서 유입되는 담수와 혼합되며, 탁도와 영양염류가 높습니다.
- 남해로 흘러들며, 서해안 조간대의 생물 다양성에 기여합니다.
✅ 한국 연안류
-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약한 난류입니다.
- 중국 연안류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며, 계절에 따라 흐름이 달라집니다.
✅ 서한난류(서해난류)
- 동중국해에서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로, 겨울철에 특히 활발해집니다.
- 난류와 한류의 경계가 형성되어 조경수역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 2-3. 남해
.남해는 대한해협을 통해 동중국해와 연결되며, 해류가 가장 복잡하게 흐르는 해역입니다.
✅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
-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가 대한해협을 거쳐 남해로 유입됩니다.
- 이 해류는 따뜻하고 염분이 높은 해수로, 동한 난류의 시발점이기도 합니다.
✅ 대마 난류(동한 난류)
- 대한해협을 통해 유입된 쿠로시오 해류가 대마도(쓰시마 섬)를 지나 북상하면서 형성됩니다.
- 남해에서 동해로 연결되는 주요 난류 경로입니다.
✅ 연안수(연안 해류)
- 남해 연안을 따라 흐르는 다양한 소규모 해류들이 존재합니다.
- 연안수는 지역별 해양 환경과 어업에 중요한 영향을 줍니다.
3. 조경수역이란?
조경수역은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해양의 경계 지점입니다. 이 지점에서는 수온, 염분, 밀도 등이 크게 차이나며, 해수의 혼합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영양염류가 풍부해지고 어류가 모이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 조경수역의 특징
4. 한국 주변 조경수역의 대표적 예
▶️ 동해 남부 해역
- 쿠로시오 해류에서 유래한 동한 난류와 오야시오 해류의 남하가 만나는 지점
- 울릉도, 독도 인근 해역이 대표적인 조경수역
- 오징어, 명태, 도루묵, 꽁치 등 다양한 어종이 몰려드는 대표 어장
▶️ 대한해협 해역
-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가 들어오는 지점으로 난류의 영향이 매우 큼
- 제주도 동부 해안, 부산 앞바다 등이 조경수역의 일부
- 한류와의 경계 지점에서 플랑크톤이 풍부하게 발생하여 어류의 산란장으로도 중요
▶️ 남해안 해역
- 쿠로시오 해류, 중국 연안류, 한국 연안류가 복잡하게 만나는 지역
- 여수, 남해, 통영 인근 해역에서 어업 활동이 활발
- 계절 변화에 따라 조경수역의 위치가 이동하며, 어획량에도 큰 영향을 줌
5. 해류와 조경수역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 1. 어업과 수산자원
- 조경수역은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어류가 모이는 장소입니다.
- 따라서 고등어, 명태, 오징어, 꽁치 등 다양한 수산 자원이 풍부하게 분포합니다.
- 조경수역의 위치 변화는 어획량과 어종 변화에 직결됩니다.
✅ 2. 기후에 미치는 영향
- 난류는 주변 지역의 기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예: 동해안이 겨울에도 비교적 온화한 이유는 동한 난류 때문입니다.
- 한류는 안개, 저온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3. 해양 생태계
- 다양한 수온대의 해류가 만나는 곳은 해양 생물 다양성이 풍부합니다.
- 어류뿐 아니라 조개, 해조류, 플랑크톤, 해양 포유류의 서식지로 중요합니다.
✅ 4. 해양 오염 확산 경로
- 해류는 오염물질이나 미세플라스틱, 방사성 물질의 확산 경로가 되기도 합니다.
- 특히 난류는 광범위하게 물질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국제적인 해양 환경 감시가 필요합니다.
6. 위성 관측과 해류 연구
최근에는 위성 영상과 해양 부이, 해양조사선을 활용해 해류의 흐름과 조경수역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있습니다.
- 해양 표면 온도(SST) 자료로 난류/한류 경계를 분석
- 염분·밀도 측정을 통해 해류의 방향과 세기를 예측
- 어군 탐지기와 해류 예측 모델을 활용한 어장 관리도 이루어짐
결론
한국 주변에는 쿠로시오 해류, 동한 난류, 오야시오 해류, 중국 연안류, 한국 연안류 등 다양한 해류가 흐르며, 이들이 만나는 조경수역은 어업, 기후, 생태계 등 모든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류의 변화와 조경수역의 위치는 계절이나 해양 기후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이에 따라 어업 정책, 해양 보호, 기후 대응 전략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한국은 해류의 교차로에 위치한 해양 생태학적 요충지이자,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조경수역을 지닌 국가입니다. 따라서 해류 연구와 조경수역 보호는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과제입니다.